세계경제

맥도날드가 BTS와 손잡은 진짜 이유: 2024 글로벌 마케팅의 비밀

eodiseo 2025. 2. 19. 14:30
728x90
반응형

 

 


 

알디·맥도날드·세븐일레븐을 통해 본 국제 경영 트렌드

 

 

 

전 세계 경제가 출렁이는 가운데, 몇몇 글로벌 기업들은 여전히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디(Aldi), 맥도날드(McDonald's), 7일레븐(7-Eleven)의 행보가 눈에 띄는데요. 이들은 도대체 어떻게 이런 불확실한 시기를 헤쳐나가고 있는 걸까요? 오늘은 이 흥미진진한 글로벌 기업들의 생존 전략을 파헤쳐보겠습니다.

 

 


 

1. 알디(Aldi)의 저비용 고효율 전략과 글로벌 시장 확장

 

1.1 '쓸데없는 건 하지 말자': 알디의 효율성 obsession

 

알디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효율성 덕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매장 크기? 다른 마트의 1/3 수준입니다. 직원 수? 매장당 3-5명이면 충분해요. 심지어 제품 진열도 배송 박스 그대로 진열해버립니다. "귀찮게 뭐하러 박스에서 꺼내?"라는 게 알디의 생각이죠.

 

재미있는 건 이런 '귀찮음 피하기'가 엄청난 비용 절감으로 이어졌다는 거예요. 2008년 금융위기 때도 알디는 끄떡없었죠. 오히려 성장했다고 하네요. 불경기에 알디가 더 잘된다는 건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랍니다.

 

1.2 "1,600개면 충분해!"

보통 대형 마트는 31,000개가 넘는 제품을 팔아요. 그런데 알디는? 고작 1,600개만 취급합니다. 게다가 그중 90%가 자체 브랜드예요. 재미있는 건 이 자체 브랜드들이 유명 브랜드와 아주 비슷하게 생겼다는 거죠. 'Wheat Thins' 대신 'Thin Wheat'라니, 센스 있지 않나요?

 


2. 세븐일레븐(7-Eleven)의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기반 경영

 

2.1 편의점도 이제는 빅데이터 시대

 

여러분, 세븐일레븐이 원래 미국 기업이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그런데 지금은 일본 기업이 됐어요. Seven & I Holdings라는 회사가 인수한 뒤로 완전히 달라졌다고 하네요. 특히 데이터 활용이 대단한데, 어떤 시간대에 누가 무엇을 사는지 분석하는 수준이 정말 detail하다고 해요.

 

2.2 "담배랑 주류만으론 안 되겠어"

 

세븐일레븐이 요즘 가장 공을 들이는 게 바로 식품사업이에요. 왜냐고요? 담배랑 주류 매출이 자꾸 줄어들거든요. 그래서 Warabeya라는 일본 식품 회사와 손잡고 퀄리티 높은 즉석식품을 내놓고 있어요. 편의점 음식 맛없다는 편견을 바꾸겠다는 거죠!

 

2.3 "9,500만 명이 선택한 이유가 있다"

 

세븐일레븐의 로열티 프로그램 회원이 무려 9,500만 명이래요. 어마어마하죠? 이 빅데이터로 뭘 하냐고요? 아침에는 커피와 도넛을, 저녁에는 간식거리를 추천한답니다. 시간대별로 다른 광고를 보여주는 거예요. 영리하죠?

 


3. 맥도날드(McDonald's)의 글로벌-로컬 전략

 

3.1 "인도에선 소고기 빼야해"

 

맥도날드의 현지화 전략이 특히 재미있어요. 인도에 가면 소고기 패티 대신 감자와 완두콩으로 만든 McAloo Tikki를 만날 수 있고, 필리핀에선 맥스파게티가 인기메뉴랍니다. 심지어 중동에선 할랄 인증도 받았어요.

특히 대박났던 게 BTS 밀이에요. 전 세계 맥도날드 매출이 40%나 증가했다고 하네요. K-pop의 힘이 대단하죠?

 

 


 

4. 그래서 우리가 배울 점은?

 

 

4.1 효율성과 혁신은 기본이지!

 

이 세 기업의 공통점은 뭘까요? 바로 '효율성'과 '혁신'의 절묘한 밸런스예요. 특히 요즘같이 디지털 시대에는 데이터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승부를 가르는 것 같네요.

 

4.2 국제 정세도 잘 살펴야 해요

 

미중 무역갈등, 코로나19 팬데믹... 국제 정세가 심상치 않죠? 이런 상황에서 이 기업들은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어요. 특히 지역별로 공급망을 다각화하고, 디지털 기술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결론

 

결국 성공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공통점은 세 가지인 것 같아요.

 

  1. 효율적으로 일하기
  2. 디지털 기술 활용하기
  3. 현지 시장 특성 잘 파악하기

 

특히 코로나19 이후로 이런 요소들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하네요. 앞으로도 이런 기업들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봐야겠어요. 어쩌면 우리나라 기업들도 이들에게서 배울 점이 많지 않을까요?

 

 

글로벌 비즈니스 세계의 다음 트렌드가 궁금하시다면 이 블로그를 찾아주세요!

다음에는 또 다른 흥미진진한 글로벌 비즈니스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

728x90
반응형